어차피 헛소리

편견의 인정

신천지행 2018. 5. 25. 23:00

편견 (偏見) 발음 듣기 중요 

[명사]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 



偏見 (편견) 공정(公正)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

獨斷 (독단) ①남과 의논(議論)하지 아니하고 자기(自己) 혼자의 의견(意見)대로 결단(決斷)함  

②근본적(根本的)인 연구(硏究)를 하지 아니하고 주관적(主觀的) 편견(偏見)만으로 판단(判斷)을 내림


偏執 (편집) 편견(偏見)을 고집(固執)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음


선입견 (先入見) [서닙껸] 발음 듣기  


[명사] [같은 말] 선입관(어떤 대상에 대하여 이미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고정적인 관념이나 관점). 



先入見 (선입견) 사람, 사물(事物), 주의(注意) 등(等)에 대(對)하여 실제(實際)의 경험(經驗)보다 앞서, 미리 마음속에 부정확(不正確)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해서 형성(形成)된 고정적(固定的)인 관념(觀念)이나 견해(見解)



-----


누구나 편견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이 가진 편견이 올바른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견해를 부정하게된다.


이해의 시작은 자신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시작해야한다.


그것이 정치적인 이유이든 

종교적인 이유이든 

문화적 차이든 간에 우리는 항상 어떠한 선입견에 입각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편견이 나쁘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버려야 한다.


편견은 치우친 견해이며 누구나 자신에게 이로운 바에 치우쳐 생각하게 된다.

그것이 사회적 합의에 가깝다고 해서 편견이 아닌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보적 정치사상을 추구하는 집단의 일원이면

상대가 자유한국당 당원이라는 말을 들었을때 어떠한 선입견을 적용할 것이다.

즉, 상대에 대한 편견이 생긴다.


그가 하는 말이나 내용에 대해 편견에 기초해 해석하기 마련이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그런데 서로 상대가 적(악)이라고 규정하면 타협점이 찾아지지 않는다.

이해가 시작될 수 없다.


사람이 완전한 중립을 가지기 어려우며

편견이나 선입견이라는 것은 학습에 의한 것으로

일종의 생존을 위한 방식이기도 하다.


만일 늑대가 나타났는데 그것을 개라고 잘못인식하고 다가가려고 하면

그 사람은 바로 물려 죽게 될 것이다.

개라는 친숙한 존재에 대한 편견때문에 발생한 오류인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동물에 대해 경계심을 가지는 것은

본능적이면서도 일종의 선입견이 작용하는 것이다.


편견이 나쁜것이 아니라

자신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나쁘다.

누구도 완벽할 수 없다.


항상 자신의 견해가 치우쳐있음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독단과 독선을 피하고 편집이나 아집을 부리지 않게 된다.


우리는 편견을 가지고 산다.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 독단을 피하는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