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의위협
#판데믹

콜레라연대기

1832년 파리에선 콜레라 무도회가 열렸다.

2010년 미국 키웨스트에선 '뎅기 나이트 피버'라는 집단은 모기 복장을 입고 거리를 휘젖는 축제를 벌였다.

2020년 대한민국에선 클럽에 젊은이들이 넘쳐난다고 한다.

이 사건들은 우리가 가지는 바이러스에 대한 인식이 200년동안 얼마나 발전했는지 보여준다.

이 책은 인도의 뱅골에서 출발한 콜레라균의 여정을 따라가며 바이러스나 균과 감염병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것이 현대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고 있다.

중세의 흑사병이 가져다 준 공포와 마녀사냥으로 대변되는 사회혼란이 있었지만 말 그대로 중세스러움으로 치부받고 넘어가게 되지만 19세기 인도에서 시작되어 유럽을 거쳐 미국까지 퍼져나간 콜레라에 대해 소위 문명국이라는 나라들의 대응은 최근 어느 교회의 소금물 소독 사건과 별반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콜레라는 아직도 맹위를 떨치고 있으며 안타깝게도 도움을 주기 위해 아이티에 도착한 네팔의 유엔평화유지군을 따라온 콜레라균으로 인해 최근 아이티에서도 심각한 피해를 주었다.

책은 한편의 장대한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들 정도로 빠르고도 정밀한 묘사로 콜레라의 전파 경로와 그에 대응하는 인간 군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수인성 전염병이라는 것에 대한 많은 통계를 무시하고 소금물로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것을 발견했음에도 확인되지 않은 수은치료법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수은 중독으로 사망해야 했던 일들 그리고 분뇨를 인간의 몸에서 배출되었기때문에 신성한 것으로 여기며 깨끗한 상수도를 거부했던 사건들을 보면서 과연 인간의 지성이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아마도 저자가 많은 감염병 중에서 콜레라를 선택한 것은 그것이 근세를 관통하는 판데믹의 시초였고 히포크라테스로 부터 시작했던 인간을 신성시하던 서양의 고대의학에 대한 종말을 고하는 사건이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인도 맹갈로브 숲이 가득한 어느 해변의 비브리오 균이 전세계를 위협하는 50%이상의 치명률을 가지는 공포의 대상이 되는 과정을 통해 의학적 진실과 과학적 진실을 외면하는 많은 지식인들이 보여주는 아집은 더 많은 공포를 가져올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에서는 에볼라나 라임바이러스와 사스와 같은 다양한 감염병을 발생하는 존재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콜레라라는 확실하고도 명확한 대상을 통해 선명하게 인간들과 독성 유발자들(바이러스와 균)이 벌이는 갈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사실 바이러스나 균은 단지 자신들의 생존을 위한 행위를 하고 있는 것일 뿐이고 인간은 그 행위에서 발생하는 독성들에 적응하며 살아왔다는 사실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리고 전세계를 단일 생활권으로 이어주는 교통의 발달과 대량 사육으로 인한 종간 전염이 쉬워진 환경 무엇하나도 현재의 인간들이 버릴 수 없는 것이지만 인간을 더욱더 바이러스나 균과 자주 접촉하게 만드는 환경은 고작 200년도 안된 환경이고 그 환경에서 판데믹은 앞으로 더 자주 우리를 괴롭히게 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였다.

우리는 균이나 바이러스과 싸운다는 말을 자주 사용하지만 과연 그들을 멸종시키는 것은 가능한 것인지 많은 의문을 가지게 된다.

무엇보다 진화의 관점에서 인간은 이런 감염병에 대한 기억을 유전적인 정보로 기록해 남겨두며 적응해 왔지만 현재의 환경은 이런 진화적인 선택을 하기에 너무 다양한 병원체에 쉽게 노출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승리할 수 없는 전쟁에 뛰어는 인류에게 어떤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 지 누구도 쉽게 예측할 수 없겠지만 이번 판데믹이 새로운 긴 여정의 시작이 되리라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었다.

소니아 샤라는 작가를 처음 만났지만 깊이있는 관찰과 꼼꼼한 서술을 매끄럽고 이해하게 쉽게 이어가는 능력에 감탄할 수 밖에 없는 책이다. 심지어 과학도서를 거의 읽지 않는 아내가 먼저읽고 재미있다고 추천한 책이라 깜짝놀라 서둘러 읽었던 책이었는데 정말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다.

 

Posted by 신천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