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악에게 묻는다> 김성규, 책이라는신화

인간의 악한 면을 보여주는 다양한 심리학적인 주제를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이해시키고자 설명하는 책이다.

책의 첫장은 유명한 스탠퍼드 감옥실험으로 시작한다. 인간 사회에서 계급과 권력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 실험은 심리학에서 인간이 가지는 위계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실험으로 자주 언급된다. 동일한 실험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도 있다는 사실은 책을 보며 처음 알게되었는데 영화 속 상황을 실제 실험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들어 설명하는 것을 통해 실제 실험에서 권위를 위해 소화기로 범죄자 역활을 하는 실험대상자들을 제압했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고 실험을 주최한 교수가 실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들을 두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뭔가 작년에 인기를 얻었던 <오징어 게임>을 연상시키는 실험이었다.

'집단과 계급의 악', '무능한 생각(공감능력부재)이 만드는 악', '사이코패스', '거짓말', '관음증', '가정폭력', '정신분열증(조현병)', '복수와 질투', '다중인격', '외모지상주의와 자기혐오', '기억상실(알츠하이머)', '외로움', '완벽주의와 강박'이라는 13개의 주제에 대해 설명하면서 심리학 실험이나 연구결과들을 일반인의 시선에서 이해하기 쉽게 영화나 드라마 속의 한 장면이나 영화로 연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정신분열증이 약으로 다스릴 수 있으며 완치가 아니어도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례로 <뷰티플 마인드>의 존 내시의 사례를 보여주기도 하고 사이코패스가 심리학계의 용어가 아니며 소시오패스와 실제로 구분되어 사용되지 않는 다는 점을 알려준다.

작가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본다. 그렇기에 더 자신의 본성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스스로를 살펴야 한다는 측면에서 강의했던 내용을 모아 이런 책을 쓰게 된 것이라고 말한다.

책 속에서 타인 지향 완벽주의에 의한 강박을 형성하는 경우나 사이코패스, 다중인격과 같은 증상의 발현 기재에 어려서 겪은 아동학대의 경험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자주 언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전하고 애착이 잘 형성되며 사랑으로 보듬는 가정이 언제나 중요하다고 느껴진다.

<인간의 악에게 묻는다> 김성규, 책이라는신화

인간의 악한 면을 보여주는 다양한 심리학적인 주제를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이해시키고자 설명하는 책이다.

책의 첫장은 유명한 스탠퍼드 감옥실험으로 시작한다. 인간 사회에서 계급과 권력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 실험은 심리학에서 인간이 가지는 위계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실험으로 자주 언급된다. 동일한 실험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도 있다는 사실은 책을 보며 처음 알게되었는데 영화 속 상황을 실제 실험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들어 설명하는 것을 통해 실제 실험에서 권위를 위해 소화기로 범죄자 역활을 하는 실험대상자들을 제압했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고 실험을 주최한 교수가 실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들을 두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뭔가 작년에 인기를 얻었던 <오징어 게임>을 연상시키는 실험이었다.

'집단과 계급의 악', '무능한 생각(공감능력부재)이 만드는 악', '사이코패스', '거짓말', '관음증', '가정폭력', '정신분열증(조현병)', '복수와 질투', '다중인격', '외모지상주의와 자기혐오', '기억상실(알츠하이머)', '외로움', '완벽주의와 강박'이라는 13개의 주제에 대해 설명하면서 심리학 실험이나 연구결과들을 일반인의 시선에서 이해하기 쉽게 영화나 드라마 속의 한 장면이나 영화로 연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정신분열증이 약으로 다스릴 수 있으며 완치가 아니어도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례로 <뷰티플 마인드>의 존 내시의 사례를 보여주기도 하고 사이코패스가 심리학계의 용어가 아니며 소시오패스와 실제로 구분되어 사용되지 않는 다는 점을 알려준다.

작가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본다. 그렇기에 더 자신의 본성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스스로를 살펴야 한다는 측면에서 강의했던 내용을 모아 이런 책을 쓰게 된 것이라고 말한다.

나이 서른이 넘어가면 이미 뇌의 수축이 시작된다는 사실에서 또한번 좌절하고 책 속에서 타인 지향 완벽주의에 의한 강박을 형성하는 경우나 사이코패스, 다중인격과 같은 증상의 발현 기재에 어려서 겪은 아동학대의 경험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자주 언급되어 결국 인간의 성장에 가정의 보살핌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전하고 애착이 잘 형성되며 사랑으로 보듬는 가정이 언제나 중요하다고 느껴진다.

 

Posted by 신천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