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는 없다> 유성운, 페이지2북스
다소 도발적인 제목이긴 하지만 책을 읽어보면 왜 저런 제목으로 출간했는지 이해하게 된다.
왜 한국사는 없을까? 한국사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한국사라고 우리가 부르는 역사는 한반도를 기준으로 발현하고 사라졌던 왕조에 대한 역사라고 배워왔다.
이 책은 우리가 왕조를 중심으로 배우는 역사에서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집어주고 있다.
한국사를 한국과 한반도를 중심으로만 바라봐서는 보이지 않던 세계적인 흐름과 그 시대의 기후와 자연환경을 통한 영향까지 고려해야만 보이는 역사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삼국시대의 시작이 되었던 낙랑군의 소멸은 또 다른 시작이었으며 한반도 경제와 정치적 흐름을 바꾸었다는 사실은 지금까지 잘 몰랐던 역사이기도 했고 결국 중원에서 발생한 문화가 한반도를 거쳐 일본까지 흘러갔던 고대의 흐름을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장수왕이 왜 만주벌판을 버리고 한반도 한강유역에 집중했었는지, 병자호란에 기후가 미친 영향이 무엇이었는지, 노예제도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지금까지 역사책에서 보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이동거리와 경제적인 영향력이 강화된 현대에는 세계 속에서 한국의 모습을 바라봐야 좀더 정확하게 현재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왔는데 현대가 아닌 과거부터 우리는 세계적인 흐름에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고 인간의 삶은 인간이 만들어가는 역사뿐아니라 지구 속에서 살아가는 작은 존재였다는 점도 다시금 생각하게 해 준다.
일본으로 떠난 마지막 조선통신사와 그당시 일본의 젊은 천재이자 훗날 국학파의 거두가 된 가메이 난메이와의 조우는 묘한 아련함을 만들어 준다.
오규 소라이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해졌고 그의 저작을 구해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의 이야기 어느 하나 소홀하게 넘어갈 수 없는 내용이고 읽는 사람들에게 흥미와 지식을 함께 전달하는 탁월함을 가지고 있다.
자신 만의 통찰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력있게 잘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고 그런 능력과 지성이 모여 새로운 시간을 만들어 간다고 믿는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역사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한 장면을 만들어 주는 책이었다고 생각된다.
'책읽기&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협찬] 아라비아 역사 (1) | 2024.09.11 |
---|---|
[도서협찬] AI 혁신 바이블 (1) | 2024.08.29 |
[도서협찬] 당신의 지문은 DNA를 말하지 않는다 (0) | 2024.08.08 |
[도서협찬] 알아두면 쓸모 있는 철학 상식 사전 (0) | 2024.07.16 |
[도서협찬]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교과서 (0) |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