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지문은 DNA를 말하지 않는다> 알폰소 마르티네스 아리아스, 윤서연, 드루
이 책은 우리가 DNA라고 알고 있는 유전체 중심으로 인간을 해석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가지며 세포를 중심으로 인간을 해석해야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책이다.
(내가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살짝 자신이 없다.)
솔직히 어렵다.
내 이해도가 부족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익숙하지 않은 전문 용어가 많다보니 모든 내용을 이해하는 것에 한계를 느낀다.
한번 읽고 모든 내용을 이해하긴 쉽지 않지만 저자가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고 DNA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날 필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었다.
1부에서는 DNA(유전자)의 발견과 그것이 우리 삶과 문화를 바꿔가고 있는지 설명해주고, 최근 몇년동안 새롭게 알려진 세포의 일생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단세포에서 다세포 생물로 전환은 진화의 중요한 지점이지만 아직도 명확하게 세포간의 협력을 이끌어낸 동기를 설명하진 못하고 있다.
2부에서는 복제양 돌리이야기를 시작으로 유전자와 배아 세포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험 결과를 통해 난자와 배아 그리고 태아와 인간 세포의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해 보여준다.
3부에서는 신체의 일부를 재생하기 위한 배양세포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의 발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줄기세포를 통한 배아 생성에 대한 연구 과정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배아란 무엇이고 인간은 무엇인지 스스로를 복제하게 될 경우 생길 여러가지 윤리적 사회적 역사적 의미에 대해 생각해볼것을 요구한다.
유전자 가위라는 말이 유행하고 유전자 검사만을 통해 암발생 가능성을 따져보고 자신의 신체 일부를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전자 정보가 얼마나 불확실한 정보인지 이야기하고 있다.
유전자가 가지는 연관성이 인과관계로 착각되고 있는 것은 아닐지 우려하고 있으며 유전자가 아니라 세포를 중심으로 인간을 바라봐야 좀 더 의미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 책에는 명확한 답은 없다.
앞선 연구들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정확하게 알려주려는 것이 더 큰 목적이었다고 생각하고 상업적인 가치로 인해 유전자 만능주의를 주장하는 일부 사람들을 경계할 것과 진짜 유전정보 탐색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전부였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기존의 관행을 뒤집고 불확실한 정보라도 올바른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는 것은 과학자의 책무라고 생각하기에 이 책이 가지는 가치가 크게 다가왔다.
하지만,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적어도 두어번은 더 읽어봐야 할 것 같고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느낀다.
책 초반에 소개된 유전자를 2개 가진 키메라라는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서 키메라의 존재가 15%정도라니 수많은 친자확인 검사에서 키메라여서 불일치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마지막 참고문헌에는 세포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한 애니메이션에 대한 소개가 있어 유튜브에서 찾아보았다.
어느 타이밍에서 아름다움을 느껴야하는 것인지는 생물학자의 관점에서 봐야할 것 같지만 앞서 읽었던 <미키 7> 속 미지의 생물들과 새로운 개척지 행성에 대해 따로 상상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책읽기&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협찬] AI 혁신 바이블 (1) | 2024.08.29 |
---|---|
[도서협찬] 한국사는 없다 (0) | 2024.08.19 |
[도서협찬] 알아두면 쓸모 있는 철학 상식 사전 (0) | 2024.07.16 |
[도서협찬]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교과서 (0) | 2024.07.08 |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신화에서 시작되었다 (0) | 2024.06.28 |